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3/10/26/7IY3E3P5DRDURFRAH6CHO3LMKU/
“지금 수준의 물가·금리 앞으로 30년 더 간다”
지금 수준의 물가·금리 앞으로 30년 더 간다 WEEKLY BIZ Cover Story 세계적 통화 이론가 찰스 굿하트 런던정경대 명예교수 인터뷰
www.chosun.com
[Cover Story] 세계적 통화 이론가 찰스 굿하트 런던정경대 명예교수 인터뷰
세계 금리의 지표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지난 19일 5%선을 넘어섰다. 글로벌 금융 위기 직전인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이다. 세계 금융 시장은 고금리 공포에 다시 한번 요동쳤다. 이미 미국 기준금리는 22년 만에 가장 높은 연 5.5%까지 치솟아 있다.
어느새 투자자들은 저금리 시절을 아득한 과거로 느끼고 있다. 동시에 고금리 충격이 예상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다는 두려움에 떨고 있다. 각국 정부도 폭증하는 부채, 탈세계화, 지정학적 갈등과 같은 위기 요인이 겹치는 가운데 맞이한 고금리 태풍 앞에서 잔뜩 긴장하고 있다.
다시 찾아온 고금리 시대가 만들어낼 미래에 대한 시계(視界)를 넓혀보기 위해 WEEKLY BIZ는 세계적인 통화 이론가인 찰스 굿하트(87) 런던정경대(LSE) 명예교수를 화상으로 만났다.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하루 5시간 이상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굿하트 교수는 “앞으로 30년은 고물가·고금리가 이어지기 때문에 경제적 행동 양식도 그에 맞게 재설계해야 한다”며 “50세 미만 인구는 지금껏 저금리와 금리 하락만을 경험해왔다”고 말했다. 앞으로 30년간 진행될 고물가·고금리 사이클에 이제 막 들어섰기 때문에 이런 ‘뉴노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서둘러 사고방식과 행동을 ‘개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굿하트 교수는 “지난 30년간 세계화와 인구 증가가 세계 경제를 추동하고 낮은 물가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생산 가능 인구 감소와 탈세계화가 성장을 막고 물가를 끌어올리는 재앙이 될 것”이라며 “고물가·고금리 추세는 2050년 무렵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2019년 탈고한 저서 ‘인구 대역전’에서부터 이 같은 숙명적 비관론을 주장해왔다. 앞서 팬데믹이 한창일 때도 굿하트 교수는 “봉쇄가 풀리고 회복이 시작되면 통화 확장의 여파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밀어닥칠 것”이라며 한발 앞서 경고를 해왔다. 그는 한국에 이른바 ‘영끌 투자족’이 많다는 얘기에 “조심하라(be careful), 조심하라, 조심하라”며 세 번 이야기했다.
케임브리지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굿하트 교수는 거시경제 구루로 인정받아왔다. 케임브리지대·런던정경대 교수로 활동했고, 영국중앙은행 금융통화위원을 지내며 통화정책 집행에 직접 참여했다. 영국 재무부에 근무한 경력도 있어 이론과 실무에 두루 능하다. 평소 통화론자들의 근시안적 접근을 경계해야 한다며 장기적인 통찰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그는 ‘특정 경제지표를 정책 목표로 삼는 순간 지표가 본래 움직임을 상실한다’는 ‘굿하트의 법칙’으로도 유명하다.
'사회를 보는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F 직전이랑 너무 똑같다는 현재 우리나라 상황 jpg (0) | 2023.10.30 |
---|---|
'용산 정부'의 실체, 이런걸 우린 예전에 '레임덕'이라 부르기로 했다 (1) | 2023.10.30 |
실패한 尹 ‘마이웨이 정치’…독선·이념 전쟁·인사 실패에 민심 등 돌려 (2) | 2023.10.27 |
표 잃어도 개혁한다더니…'맹탕' 연금개혁안 내놓은 尹 (0) | 2023.10.27 |
남욱 "김만배, '대장동 그분' 이재명이라 말하지 말라고 협박" (0)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