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보는 눈

실패한 尹 ‘마이웨이 정치’…독선·이념 전쟁·인사 실패에 민심 등 돌려

투샷아인슈페너 2023. 10. 27. 16:01

https://v.daum.net/v/20231027140801528

 

실패한 尹 ‘마이웨이 정치’…독선·이념 전쟁·인사 실패에 민심 등 돌려

(시사저널=김종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위기다. 그것도 대위기다. 윤 대통령이 야심 차게 선보인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는 10월6일 야당의 반대 끝에 결국 낙마했다. 10월11일 실시된 서울

v.daum.net

 

현실화한 ‘수도권 위기론’…진앙지는 尹 서울 지지율 ‘25%’
“태도 바꿔야”…‘R&D 예산 삭감’ 등 설득 없는 독주로 논란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위기다. 그것도 대위기다. 윤 대통령이 야심 차게 선보인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는 10월6일 야당의 반대 끝에 결국 낙마했다. 10월11일 실시된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여당 후보는 17%포인트 격차로 참패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표현을 빌리자면, 윤 대통령은 정계 입문 이후 처음으로 연이은 패배의 쓴맛을 봤다. 윤 대통령은 이후 절치부심해 반성의 메시지와 민생 행보를 선보였지만, 민심은 여전히 냉랭했다. 오히려 지지율은 급전직하했다.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한국갤럽 기준(10월20일 발표) 최근 6개월 동안 최저치인 30%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에서의 긍정평가는 25%까지 떨어져 여권 전체를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다. 여권에 불어닥친 '수도권 위기론'이 내년 총선에서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과장이 아니라는 사실과 수도권 위기론의 '진앙지'가 바로 윤 대통령 발밑에 있다는 게 증명됐기 때문이다. 

 

 

 

'수도권 위기론'의 진앙지는 바로 尹 대통령

윤 대통령 앞에는 기회도 있다. 국정 기조 대전환과 함께 국민 통합에 힘쓰는 모습을 보인다면, 추락한 지지율을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 여의도 정치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대선 과정에서 전격적으로 국민의힘에 입당하고, 안철수 의원과의 단일화를 거쳐 보수의 외연을 키웠던 것처럼 '플러스 정치'를 한다면 등 돌린 민심도 점점 마음을 풀 것이라는 설명이다.

과연 윤 대통령은 기회를 잡을까. 여당에서는 지지율 위기를 맞이한 윤 대통령이 최근 '위기를 기회로 바꿀' 좋은 기회를 놓쳤다는 토로가 포착됐다. 시사저널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용산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10월29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리는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다.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 대통령이 정부·여당과 함께 추모식에 참석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국정 기조 대전환을 대외적으로 천명하는 상징적인 기회가 될 수 있었다며 아쉬움을 삼키는 모습이 관측됐다. 

 

 

대통령실은 "추모 행사가 유가족들 중심으로 마련된다고 생각했는데 야당이 개최하는 정치집회 성격이 짙다"며 윤 대통령의 불참 이유를 밝혔다. 실제 정부·여당은 야당이 이태원 참사를 '정치 쟁점화'한다는 이유 등을 들며 그동안 '참사 책임론'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 왔다. 참사 특별법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해왔다. 

대통령실 사정에 밝은 여권 핵심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행사에 참여했다면 인요한 혁신위원장의 일성이었던 '와이프와 자식 빼고 다 바꾸자'는 말을 윤 대통령부터 솔선수범해 실천하는 일이 될 수 있었다"면서 "특히 보궐선거 참패 이후 여권 전체가 중도 외연 확장과 국정 기조 대전환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추모식에 참석했다면 국민 통합을 위한 윤 대통령의 진정성을 국민들이 확인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는데 너무 아쉽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추모식에 참석했다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도 만나 그동안 꽉 막혀 있던 야당과의 대화에도 물꼬가 트일 수 있다고 기대했는데, 결과적으로 야당이 제안한 윤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동도 성사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위기와 기회 사이에서 윤 대통령은 과연 향후 어떤 길을 걷게 될까. 여권에서 전략통으로 평가받는 선거 전문가들은 지금이 윤 대통령이 성난 민심을 달랠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미 싸늘한 민심과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혹독하게 매서운 겨울'이 예고되어 있는데, 총선을 5개월 조금 넘게 남겨둔 지금, 국정 기조를 대전환하고 제대로 준비해야 민생과 경제라는 성과를 총선 즈음에 어느 정도 국민에게 보여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인요한 혁신위'가 출범했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냉골 같은 국민 여론을 뒤집으려면 결국 윤 대통령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싸늘한 민심을 매일 현장에서 접하는 이들은 "'윤심(尹心·윤 대통령의 의중)으로 총선을 치른다' '검사 무더기 공천' 같은 소리가 언론에 보일 때마다 속이 타들어간다"면서 "결국 '태도의 문제'다. 윤 대통령이 배제와 독선의 자세를 버리고 통합과 대화의 모습을 보여야만 지금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윤 대통령은 어쩌다가 사면초가에 내몰리게 됐을까. 시사저널이 여권 관계자들을 두루 접촉해본 결과 결국은 ①태도(오만과 독선) ②국정 방향(민생 대신 이념) ③인사(검사 출신만 중용)로 압축되는 세 가지가 핵심 문제로 손꼽힌다. 문제 해결의 첫 단계는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진단을 제대로 해야 처방전이 제대로 나오는 법이다. 시사저널은 윤 대통령이 지금의 위기에 빠지게 된 결정적 순간과 계기, 지금의 여론조사 수치가 의미하는 민심의 모습, 그리고 '인요한 혁신위'가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지 등을 두루 살펴봤다. 

尹 지지율, 한 달 만에 서울에서 14%포인트 급락

 

"김태우 공천부터 홍범도 논란, R&D 예산 삭감까지 다 잘못"

 

 

"지금의 위기, 불통과 오만에 대한 국민적 불만 누적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