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보는 눈

정부·민간의 ‘딥시크 차단’ 확산과 사이버 보안 중요성[사설]

투샷아인슈페너 2025. 2. 6. 22:10

https://v.daum.net/v/20250206114811514

 

정부·민간의 ‘딥시크 차단’ 확산과 사이버 보안 중요성[사설]

세계 각국이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 충격에서 조금씩 벗어나면서 중국으로의 정보·기술 유출을 차단하는 쪽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4일 AI 관련 보안 가

v.daum.net



 

오픈 AI의 챗GPT 출시 때와 확연히 다른 기류다. 실제로 딥시크는 개인 정보 외에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하는 등 우려할 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딥시크는 수집 정보를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데 중국 정부는 데이터보안법(2021)에 따라 기업의 수집 정보에 대한 무제한 접근권이 있다. 딥시크 사용자 정보가 고스란히 ‘중국공산당’에 넘어가는 셈이다. 한국 정부·기업의 정보와 첨단 기술을 탈취하는 중국발 해킹이 악성 진화하고, 국방부와 방산업체 등이 집중 공격을 받는 상황도 고려됐을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총리가 탄핵소추됨으로써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있음에도 어느 나라보다 신속하게 단호한 조치를 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 화웨이의 백도어 안정성을 이유로 제재할 때, 문재인 정부는 화웨이 국내 진출을 허용하는 등 역주행하며 친중 행보를 했던 것과 대비된다. 중국은 이제 백도어를 통한 도청·해킹에서 첨단 AI를 통한 무차별 정보 확보에 나섰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AI 등 첨단 기술 공급망 분리 가속화로 테크 냉전이 심화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강화 및 초국가적 해킹 차단 등을 위한 사이버안보기본법 제정도 더 급해졌다.
 
 
 



 

 

 

https://m.sedaily.com/NewsView/2GNVQAD963#cb

 

진짜 딥시크 때문에 엔비디아·SK하이닉스가 위험할까?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 기업 뉴스: 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가 사회 생활을 길게 한 건 아니지만 이런 설 연휴는 처음입니다....

m.sedaily.com

https://v.daum.net/v/20250203041507279

 

"딥시크, 독도는 누구 땅?" 물었더니…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Seek)가 공개한 생성형 AI 모델이 놀라울만한 저비용에 고효율로 글로벌 AI 업계를 놀래켰다. 오픈AI와 MS 등은 딥시크가 자사의 데이터를 대량 무단 획득했

v.daum.net

 

https://v.daum.net/v/20250114175734037

 

"현대차 이대로 가면 中자율주행SW 써야할 수도"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한국 완성차 업체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속도가 중국에 뒤처진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내부에서 터져 나왔다. 이에 따라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v.daum.net

https://n.news.naver.com/article/047/0002424275?sid=102

 

한국 떠나는 과학자의 탄식 "늦었어요, 망했습니다"

물리천문학 전공 박찬 연구원 "R&D 예산 삭감으로 일자리 잃어, 기초과학 괴멸" ▲ 박찬 연구원 ⓒ 임재근 "늦었어요. 망했습니다. 복구하는 데 20~30년은 걸릴 겁니다." 카이스트에서 물리천문학을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