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폭력’·‘여성 안전’ 언급 꺼리는 동안 커진 비극
‘가해자 호명’ 않으면서 서사만 부여하는 사회
남성성의 해로운 부분 제대로 바라볼 때
.
.
‘여자라서 죽었다’는 말은 마침내 과장이 아니게 되었다. 여성은 남자를 만나도 만나지 않아도, 심야에 외진 곳을 다녀도 한낮에 시내를 걷거나 출근길에도 그냥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다. 이것이 이번 사건을 통해 재확인 된 우리 사회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이다.
.
.
범죄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고 명명하는 것은 근본적 개선을 위한 첫 단계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해 인하대 사건 때를 비롯해 줄곧 젠더폭력이라고 명시하는 것을 꺼려왔다. 사실 가해자와 피해자가 명백히 성별화되는 범죄에서 ‘젠더’라고 하는 것도 본질을 흐리고 뭉뚱그린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데 우리 사회는 이마저도 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남성의 여성 대상 폭력(Men’s violence against women)’이라고 정부 주도 성평등 정책의 기조를 내거는 스웨덴 같은 진전은 우리에게 여전히 멀고 먼 길이다.
.
.
급기야 선거 국면 등에서 ‘여성 안전’ 관련 정책을 얘기하면 마치 표를 잃을 것마냥 노심초사하는 모습이 보이기에 이른다. 이는 정치 성향이고 뭐고 가리지 않는다
.
.
“여성안심귀갓길 예산 7400만원 전액 삭감”이라는 역동적인 수사의 본질은 ‘여성’이라는 이름을 빼 버림으로써 남성 유권자들이 효능감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다. 그들의 심기를 챙기느라 실제 목숨이 위협받는 여성의 안위는 뒷전이 된 셈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건 ‘여성가족부 폐지’ 7글자 공약도 맥락이 같다. 정치권에서부터 이런 식의 메시지가 반복되면서 안전·생존의 성평등은 후퇴하고 말았다.
.
.
새로운 남성성으로 나아가려면 가해자에게 어쭙잖은 서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를 정확히 호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리는 이를 반대로 하는 형국이다. 가해자 호명은 부담스러워 하면서 어쩌다 여자를 해치고 말았는지 그 이야기는 너무 궁금해한다. 그러다 피해자 신상을 파헤치거나 여성의 피해를 선정적으로 소비하고 값싼 동정이나 날리는 최악의 방식에 치닫기도 한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과는 거리가 먼 이 같은 행태는 용기 없고 비겁하기가 이를 데 없다고 하겠다.
.
.
흉기 난동으로 전국민이 공포에 떠는 상황에서 이를 공감하기는커녕 오히려 더 겁을 주기 위한 살인예고글을 수백건씩 올려대는 형편 없는 사회성을 갖게 된 것도 그렇다. ‘남자는 원래 그래’로 봐주기 십상이던 일탈 행위는 고칠 생각이 없으면서 ‘남자라면 이래야지’라는 압박은 벗고 싶은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를 어디서부터 손 대야 할지 몰라 그냥 보고만 있는 사회다. 그러는 동안 지금 이 순간에도 피해자는 계속 나오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46936?sid=102
마 이런게 진짜 기사다
'요즘의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1년 사이 주요물가 인상폭 (0) | 2023.08.24 |
---|---|
한국여자 99%는 착각하고 있는 것 (0) | 2023.08.24 |
구연산vs베이킹소다vs과탄산소다 차이점. 각각 어떤때 사용해야하나요? (0) | 2023.08.24 |
두 딸 성폭행해 임신시킨 말레이 남성, 징역 702년 태형 234대 [여기는 동남아] (0) | 2023.08.19 |
이준석 SNS <잼버리 총 사업비 간단요약> (0) | 2023.08.19 |